요즘 인터넷에서 이슈로 떠오른 것 가운데 하나가 소리바다다. 소리바다의 MP3 음원 공유가 폐쇄 명령을 받아 절차를 거치면서 이에 대한 뜨거운 공방이 있었다. 이런 공방은 항상 양립하기 마련. NHD-355는 사용자 쪽에 더 많은 편리함을 주는 제품으로, 인터넷 공유기 기능과 동적 DNS를 지원하는 FTP 서버 기능은 물론 대용량 첨부 파일 발송을 지원하는 등 개인 서버 역할에도 충실한 제품이다. | ||||
| ||||
앞서 이 제품의 본체 재질이 알루미늄이라고 했는데, 케이스 재질이 알루미늄이긴 하지만 부품으로 가득 차 내부 발열을 쿨링팬 없이 배출하기엔 다소 무리가 있는 게 사실이다. | ||||
| ||||
■ 기능 많지만 설정 복잡하지 않아 | ||||
| ||||
| ||||
인터넷에 연결된 NAS 장비는 외부 네트워크에서도 연결이 가능하지만 우리나라처럼 IP가 계속 사용자 모르게 바뀌는 환경에서는 NAS의 외부 네트워크 연결, 활용이 쉽지 않다. 이런 불편을 해결하기 위해 유동 IP를 문자 형태의 URL로 연결해주는 DDNS 서비스를 이용하는 게 보통이지만 DDNS는 서비스 가입과 설정이 필요한 건 물론 NAS가 사용하는 포트를 포트 포워딩 메뉴에서 열어줘야 하는 등 설정할 게 많다. 더 큰 문제는 이런 기능을 잘 활용하지 못하는 사람이 많다는 것. 하지만 NHD-355는 DDNS 설정 페이지에서 호스트 이름만 입력하면 곧바로 DDNS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다. NHD-355는 FTP 서비스는 물론 HTTP 기반의 웹 서버와 메일 서버, 심지어 텔넷까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모든 서비스는 DDNS를 이용해 외부에서도 쉽게 접속할 수 있으며 공유기 내장 모델이어서 포트 포워딩 등 부가 작업도 따로 설정할 필요가 없다. | ||||
| ||||
보안 관련 설정은 여느 인터넷 공유기 기능과 다르지 않다. 메신저 파일 전송 기능처럼 자주 쓰는 포트에 대한 포워딩 설정은 이미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특별한 경우를 빼곤 번거롭게 다시 설정을 바꿀 필요가 없다. NHD-355에 장착되어 있는 USB 포트는 USB 저장장치를 연결해 확장 디스크로 쓰거나 백업 디스크, USB 프린터까지 모두 3가지 기능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USB 백업 디스크로 사용할 경우에는 백업 옵션을 써서 지정된 사용자의 데이터를 원하는 시간에 백업할 수 있다. 앞서 NHD-355의 내부 구조에서 미니PCI 슬롯에 무선 랜 카드를 추가할 수 있다는 걸 확인했다. 하지만 아직 무선 랜 설정 페이지는 완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지금 당장은 무선 공유 기능을 추가할 수 없다. ■ 웹하드는 기본, FTP 파일 공유 기능도 지원해 그 탓에 폴더의 권한 설정은 조금 불편하지만 관리자 계정을 알고 있다고 해도 사용자마다 파일에 접근할 수 없다는 장점도 함께 지니고 있다. 다른 사용자와 공유할 수 있는 폴더를 만들려면 개인 공간에 따로 폴더를 만든 뒤에 공유 폴더를 설정하면 된다. 공유 폴더의 사용 권한 설정 역시 공유 폴더를 만든 사용자에게만 제공되기 때문에 데이터 보안에 유리하다. 웹하드 기능에서 가장 재미있는 건 바로 저장된 파일을 메일에 첨부할 수 있는 기능과 저장된 파일 링크를 제공하는 기능이다. | ||||
| ||||
대용량 파일이 첨부된 파일의 경우 메일 서버를 통해 전송하다 보면 메일이 정상적으로 전송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NHD-355가 제공하는 첨부 파일 기능은 메일에 첨부 파일을 저장하는 식이 아니라 첨부 파일 링크 방식이기 때문에 받는 사람 쪽의 메일 저장 공간을 걱정할 필요가 없다. 또 이 링크를 복사해서 게시판에 올려도 다운로드할 수 있어 활용도가 넓다. NHD-355는 앞서 설명한 것처럼 다양한 기능을 갖추고 있다. 워낙 활용도가 많아 한동안 이보다 더 좋은 개인용 NAS 제품은 찾아보기 어렵지 않을까 싶다. 물론 관련 기능을 지원하는 만큼 치열한 인터넷 공유기 시장에 '참전하는 꼴'이 됐으니 경쟁력을 갖춘 유저 인터페이스와 안정화된 펌웨어 온라인 업데이트 등을 지원하는 것도 고려해야 하지 않을까 싶다. @Buzz |
출처 : 전자신문 2005.12.19